-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MariaDB 서버 구축하기 (1/3)Synolog NAS 2017. 11. 13. 15:21반응형
마리아DB란 무엇인가?
MariaDB는 오픈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MySQL의 라이선스 상태에 반발하여 만들어졌으며...
간단하게 말하자면 오픈소스 RDBMS입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는 GPL v2를 기반으로 하기때문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나 수정하여 배포할 시에는 소스를 전체 공개해야합니다.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소스를 수정배포할때이며
우리처럼 그냥 일반 설치 사용자는 크게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마리아DB 또한 도커를 통해 간편하게 나스에 설치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 https://mariadb.com/kb/ko/mariadb/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1. docker로 들어가셔서 레지스트리 항목에서 mariadb를 검색합니다.
저는 가장 위에 인증(?) 표시가 되어있는 mariadb를 다운받았습니다.
tag는 원하시는 버전이 있으면 선택하시면 되고요. 저는 최신 latest를 선택했습니다.
2. 다운로드가 완료되셨다면 이미지 탭으로 가셔서 컨테이너 설정을 하러갑니다.
컨테이너가 뭐냐고요? 아직 도커에 대해 이해를 못하셨다면
[Synolog NAS 활용] docker를 통해 NAS 활용도 높이기 보러가기
mariadb:latest를 더블클릭해주시면 설정화면이 나타납니다.
컨테이너 이름은 원하시는걸로 하시고
저는 mariadb로 했습니다.
다음은 포트설정입니다.
로컬포트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해주시고 나스의 다른 포트와 겹치지 않게 주의하세요.
로컬포트는 나중에 외부에서 db에 접근하기 위한 포트정보로 우선은 자동으로 설정하시고 나중에 할당된 포트정보를 이용하셔 됩니다.
컨테이너 포트는 3306으로 반드시 설정(이 부분도 변경할 수 있지만 mariadb 설정을 바꾸셔야 하니 그대로 갑시다)
고급설정으로 넘어갑니다.
고급설정 - 환경 탭에서 + 버튼을 눌러서 변수를 추가해줍니다.
MYSQL_ROOT_PASSWORD = test
변수부분에 MYSQL_ROOT_PASSWOD를 입력해주시고 값 부분에는 test(루트권한 비밀번호니 자신만 아는정보로 설정)로 설정했습니다.
이 환경변수 정보가 없으면 컨테이너가 실행되지 않으니 꼭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추후 mariadb에 접속하기 위해서도 해당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이 모두 입력하셨다면 적용하시고 완료하시면
[비디오 형식] 항목에서 서버가 실행 중이라고 보일 겁니다.
여기까지 따라하셨다면 도커 컨테이너 설정은 모두 끝났습니다.
너무 쉽죠?
다음화에서는 mariadb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 설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관 포스팅
반응형'Synolog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MariaDB 서버 구축하기 (3/3) (0) 2018.10.25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MariaDB 서버 구축하기 (2/3) (1) 2017.11.13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에어코믹스 스트리밍 서버 구축하기 (3/3) (21) 2017.10.25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에어코믹스 스트리밍 서버 구축하기 (2/3) (49) 2017.10.19 [Synology NAS 활용] Docker로 에어코믹스 스트리밍 서버 구축하기 (1/3) (6) 2017.10.19